The Tyranny of Merit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센델의 가장 최근 저서이다. 최근 미국 사회의 능력주의로 인한 문제점과 이에 관해 생각해 보아야 할 점들을 정리하였다. 왜 능력주의는 우리 사회에서 이토록 인정을 받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능력주의의 문제점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있다.


저자: 마이클센델

역: 함규진

출판사: 와이즈베리

발간일: 2020/12/01

원서: The Tyranny of Merit


만능의 능력주의

능력주의는 그 자체로 문제가 없어 보인다. 공정함과 공평함의 대명사인 듯 하다. 생각해 보면 능력주의는 너무나 편리하다. 어렵고 복잡한 문제의 답을 쉽게 해준다. 저자의 경험처럼 성적순으로 학생들의 자리를 배치하는 일(나도 학창 시절 우등반/열등반을 나누는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녔다)은 언뜻 보기에 아주 공평해 보인다. 성적순으로 대학교를 가고, 성적순으로 장학금을 받는다. 성적순으로 회사가 정해지고 좋은 능력의 사원은 더 큰 보상을 받게 된다. 아주 편리하면서도 공평하고 공정한 수단이다. 심지어 이러한 능력주의는 능력을 더 발전 시키는 방향으로의 양의 선순환을 만들며 학교를, 회사를, 사회를 그리고 나라를 발전 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적어도 이러한 장점들을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능력주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사회적 이동성’의 원동력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더라도 본인의 노력에 따라 성공하여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강력한 믿음의 바탕이 된다. 하지만 이 책에서 저자는 더이상 능력주의는 가난한 사람이 중상층이 되는 ‘사회적 이동성’의 원동력이 되지 못함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능력주의의 배반

이 책의 저자는 지금의 능력주의는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생각하는 듯 하다. 지금의 능력주의는 부자들이 부자들의 권력과 부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학이라는 인재 선별 기관은 이를 더욱 공고히 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점점 이슈가 되어 떠오르고 있다.

능력주의의 무서운 점 중 하나는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를 오롯이 개인의 잘못으로 전가할 수 있는 능력이다. 많은 숙고와 논의가 필요한 문제더라도 문제를 개인의 노력 부족으로 치부해 버리면 간단히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논지는 발전하면서 개인이기주의로 발전하고 사회의 연대, 유대감을 떨어뜨리는 문제로 연결되는 듯 하다. 그리고 이렇게 저하된 사회의 유대감은 분열과 갈등을 낳게 된다. 현대 사회가 겪는 여러가지 사회 문제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정답은 아직 없다.

능력주의에 대한 논의에 대한 시원한 해답은 아직 없어 보인다. 우리가 지금 당장 겪고 있는 문제이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도 능력주의의 강력함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도 책을 읽고 사회 경험을 하면서 다양성의 중요성, 흔히들 말하는 social mix 와 같은 것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만연한 능력주의를 경계해야 겠다는 생각이 책을 읽는 내내 들었다. 그리고 능력이 우선되는 사회에서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을지 꾸준히 고민해보아야 겠다. 그리고 능력주의가 만들어주는 기술 발전의 원동력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도 고민이 필요한 것 같다.

추가로 볼만한 키워드

  • 금융투자로 인한 부의 창출이 경제에 재투자 → 불로소득으로 인한 부의 양극화 심화
  • 유동성 생성을 위한 장치로서의 교육: 코넌트의 교육이론
  • 자유시장 자유주의: 하이에크
  • 복지국가 자유주의: 존롤스
  • 신고전주의: 맨큐

댓글